공항세(공항이용료)는 공항을 이용함에 따라 해당 공항에 지불해야하는 금액이죠
공항이용료 책정은 사실 공항엿장수의 마음입니다. 승객들이 흔히 이용하는 공항패턴의 세가지가
1. 출발
2. 환승
3. 도착
이렇게 세가지로 나뉘는데 어떤 공항은 1번, 출발할때만 공항 이용료를 부과하는데도 있고 또 어떤공항은 1,2,3 다 먹이는 경우도 있고 그렇습니다
오늘은 대만공항의 조금 특이한 공항세에 대해 보겠읍니다
KIX-TPE 11:10~13:05
TPE-BKK 09:00(+1)~11:35(+1)
오사카에서 타이페이에 도착해서 17시간 55분의 레이오버를 거쳐 환승하는 경우 환승공항이용료 어떻게 책정될까요
이건 두가지 경우로 나뉩니다
1. 공항밖으로 나가는 경우
2. 공항안에서 머무는 경우
1. 공항 에어사이드 체류(미입국)
공항에서 체류를 선택한다면 환승게이트로 가셔서 보안검색을 받고 다시 에어사이드에 들어가셔서 그냥 라운지에 가시든 벤치에서 노숙을 하시든 공항 내 환승호텔을 가셔서 17시간 55분을 버티시면 됩니다
잔혹하죠
2. 입국
17시간동안 시내 나가서 놀기 충분하니 나가는 방법도 좋습니다만 출발당시 후속편 보딩패스를 받지 않는 상황이라면 다음날 이런 대참사가 발생합니다
TWD 500
약 15000원의 삥을 뜯기는거죠
체크인 할때 직원이 유심히 보며 공항세를 내야한답니다
24시간 이내로 발권을 했지만 일단 입국심사를 하고 공항밖으로 나온 이상 납부하랍니다
그래서 발권카운터로 가서
현금박치기로 내야한답니다
어쩐지 남아있던 600타이완달러를 그냥 가지고 있고 싶다 했죠
P.S. 문득 이런 의문을 가지실 수 있습니다.
KHH(가오슝)공항같은 곳은 공항이 24시간 운영이 아니라 무조건 밖으로 나와야 하는데 이것도 공항이용료 내야하나요?
-네 내셔야 합니다
담달에 오사카에서 싱가폴가는데 대만경유 17시간이라 걱정했는데
오사카에서 싱가폴까지의 표를 받는게 정답이군요.
맞습니다. 근데 위탁수하물 연결안되면 낭패죠
한번에 연결편 보딩패스까지 받아야한다는 결론
이 분 선행학습 돋으시네
넴 저는 까오슝에서 1박 하고도, 보딩패스도 수하물도 연결 안된다 해서 까오슝에서 체크인 새로 했는데도 공항세 안냈습니다 ^.^
‘어의’가 업ㅂ은게 아니다. TAX가 업ㅂ다 ㅂㄷㅂㄷ
넴 저는 까오슝에서 1박 + 연결 체크인 불가의 상황이였는데도 공항세 안냈습니다 ㄲㄲ
역시 공항세는 안 보이게 포함시켜야 제맛입니다?
(스을쩍)
오사카출발 대만경유 싱가포르행 중화항공이였는데 경유가 17시간이라 수하물은 타이페이까지, 티켓은 싱가포르까지 받을수 있냐 했더니 꺼지랍니다ㅠㅠ 수하물도 싱가포르까지 안가면 티켓을 못준다 하더라구요. 어쩔수없이 대만에 숙소 잡아둔게 있어서 입국했습니다.
결국 안내고 무사히 입국수속받았습니다笑
중화항공은 웹체크인해버리면 안받는듯하네요.
싱가폴까지 보내버려야 편하게 타이페이 다니는거 아닌가욧 호호호